걷기/해파랑길

해파랑길 8코스(울산, 20210418)

OHO 2021. 4. 19. 13:21

해파랑길 8코스(울산, 20210418)

 

 

1. 트레킹코스

성내삼거리(염포산 입구) - 염포산 정상 - 미포조선갈림길 - 구장태고개(성골삼거리) - 화정산삼거리 - 울산대교전망대 - 천내봉수대 - 문현삼거리 - 방어진항 - 동진항 - 슬도 - 대왕암공원 - 울기등대 - 용굴전망대 - 수루바위 - 민섬전망대 - 일산해수욕장(총거리 14.5km, 소요시간 5시간 30분)

 

* 성내삼거리 : 울산 북구 염포동 990-5 거북이주유소 옆

* 일산해수욕장 : 울산 동구 일산동 915-43 이면도로 주차

 

 

2. 코스개요

- 해파랑길 8번째 코스로 울진 구간에 속하며 울산 북구 염포동에서 동구 일산동을 잇는 길
- 염포삼거리에서 출발해 울산대교와 방어진항, 대왕암공원을 거쳐 일산 해변에 이르는 구간
- 솔마루길과 염포산 숲길, 항구와 해안을 두루 잇는 길
- 내륙과 해안길이 적절히 섞인 코스

 

 

3. 관광포인트

- 대한민국 대표 조선소와 항구 전경을 볼 수 있는 염포산 울산대교 전망대
- 울산만 밖에 위치한 항구로 고기 잡기 이벤트, 수산물 경매시범 등 볼거리가 많은 방어진항
- 우리나라 세 번째 등대 울기등대, 기암괴석 대앙왐과 15,000그루 해송이 어우러진 대왕암공원
- 번화한 관광지로 숙박, 식당 등 편의 시설이 많아 관광객들이 선호하는 일산해변

 

 

4. 여행자 정보

- 울산 고속버스터미널에서 시내버스 133번 이용. 자동차선적장1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 이용
- 울산대교 전망대는 밤 9시까지 운영해 야경을 볼 수 있으며 격주 월요일, 설, 추석 명절 휴무
- 숲길을 지나면 방어진까지 도심구간이므로 쉽게 화장실과 매점 이용 가능
- 대왕암이 있는 대왕암공원은 드라마 촬영지로 기념사진을 찍기 좋음

 

 

 

해파랑길 8코스 계획도

 

8코스 지도

 

산악회 제공 해파랑길 8코스 계획표

 

해파랑길 8코스 완주도 - 트랭글 앱

 

8코스 완주 운동정보 - 휴식시간 25분에는 점심 식사 포함

 

8코스 출발지 - 성내삼거리(염포산 입구)

 

출발지 인증

 

출발지의 해파랑길 7-8코스 안내도

 

염포산 올라가는 길

 

약수터갈림길 - 염포산 정상까지 갔다가 다시 이곳으로 내려와 화정산삼거리로 갔다

 

울산어울길 - 구신네에 관한 전설이 기록돼 있다

 

염포산 정상

 

염포산 정상에 있는 방어진공원 안내도

 

염포산 정상 인증

 

염포산정상석 - 해발 203m

 

오승정(五勝亭)

 

오승정 전망도

 

오승정에서 바라본 바다 풍경 - 바다 앞은 현대중공업

 

염포산 정상부 운동시설과 철쪽

 

약수터로 회귀 - 염포산 정상에서 이곳을 거치지 않고 바로 화정산삼거리로 내려가는 것이 낫다

 

이정표 - 염포산 정상에서 약수터갈림길로 가지 않고 바로 이곳으로 내려오는 것이 더 좋다

 

길도 넓고 숲이 좋아 매우 운치가 있는 길이다

 

중간에 간단한 운동시설이 있는 삼거리 이정표 - 구장태고개(또는 성골삼거리) 인 듯하다

 

운동시설이 있는 삼거리

 

미포조선 주변길 - 숲 사이로 현대미포조선과 울산대교가 보인다

 

화정산삼거리

 

화정산삼거리 이정표

 

현위치도 - 화정산삼거리

 

울산대교전망대

 

전망대 주변에서 본 울산대교와 주변 공단시설

 

울산대교 확대사진

 

전망대 앞에 있는 울산동구안내도

 

울산대교 주변 화학공업단지

 

천내봉수대 입구

 

봉수대 비치물목이 적힌 안내판

 

천내봉수대

 

봉수대 내부 - 일반 봉수대와는 달리 높이가 낮고 넓다

 

봉수대 건물지 배경 설명

 

천내봉수대에 관한 이런저런 설명들

 

산길은 끝나고 도로로 내려오면 슬도 가는 이정표가 있다

 

해파랑길 상행 붉은색 표시를 보고 따라간다

 

문현삼거리

 

문재공원 - 도로가의 작은 공원이다

 

방어진 입구 조형물 - 아지매들이 생선 바구니를 이고 가는 모습

 

물회 점심 - 사진부터 먼저 찍고 밥을 먹어야 하는데 밥 먹을려고 휘젖고 나니 생각이 나 대충 다시 덮고 사진을 찍었는데 보기가 별로다

 

건조중인 가자미

 

방어진항 - 오른쪽 낮은 건물이 활어회센터

 

방어진공동어시장

 

방어진등대가 보인다

 

울산방어진수협위판장

 

의외로 낚시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다

 

방어진항 주변 모습

 

멀리 방어진등대가 보인다

 

방어진 슬도(瑟島) - 방어진항으로 들어오는 거센 파도를 막아주는 바위섬으로 "갯바람과 파도가 바위에 부딪힐 때마다 거문고 소리가 난다" 하여 슬도라 불린다. 슬도는 바다에서 보면 모양이 시루를 엎어 놓은 것 같다 하여 "시루섬" 또는 섬 전체가 왕곰보돌로 덮여 있어 "곰보섬" 이라고도 한다. 슬도에 울려 퍼지는 파도소리를 일컫는 슬도명파(瑟島鳴派)는 방어진 12경 중의 하나다. 1950년대 말에 세워진 무인등대가 홀로 슬도를 지키고 있으며 이곳에는 다양한 어종이 서식하고 있어 낚시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2010년 MBC드라마 "욕망의 불꽃" 찰영지이기도 하다

 

슬도로 가는 방어진방파제

 

방어진등대

 

방어진등대

 

슬도에서 본 방어진항

 

바다를 향한 염원 - 새끼 고래를 업고 있는 어미 고래 형상이라고 하며, 풍요와 다산을 의미한다

 

바다를 향한 염원 설명판

 

슬도등대

 

슬도바닷길 투어 안내판

 

슬도에서 본 방어진항 주변

 

슬도에서 본 방어진방파제 풍경

 

슬도 바깥쪽 풍경

 

슬도명파(瑟島鳴波) - 슬도에 부딪히는 바람과 파도소리가 마치 거문고가 우는 소리 같다고 하여 슬도명파라 한다

 

울산 동구 이야기 - 울산 동구의 관광지 소개

 

슬도바닷길 투어

 

바위에서 낚시하는 사람

 

멀리 대왕암이 보인다 - 확대사진

 

대왕암이 보이는 해변

 

대왕암 주변 안내판

 

대왕암 전설 - 신라 30대 문무왕(제위 661 ~ 681년)은 평소 지의법사(智儀法師)에게 말하길 "나는 죽은 후에 호국대룡이 되어 불법을 숭상하고 나라를 수호하려고 한다" 하였다. 재위 21년만에 승하하자 유언에 따라 동해구(東海口)의 대왕석(大王石)에 장사 지내니 용으로 승화하여 동해를 지키게 되었다. 이렇게 장사 지낸 문무왕의 해중릉을 대왕바위라 하며, 경주시 양북면에 있다. 대왕 승하 후 왕비도 세상을 떠난 뒤에 용이 되었다. 문무왕은 생전에 삼국통일의 위업을 달성하였고, 죽어서도 호국의 대룡이 되어 그의 넋은 쉬지 않고 바다를 지키거늘 왕비 또한 무상할 수 없었다. 왕비의 넋도 한 마리의 호국룡이 되어 하늘을 날아 울산을 향하여 동해의 한 대암 밑으로 잠겨 용신이 되었다고 한다. 그 뒤 사람들은 그 대암을 대왕바위(대왕암)라 하였으며, 용이 잠겼다는 바위 밑에는 해초가 자라지 않는다고 한다.(문무왕은 삼국통일을 이룬 신라 29대 무열왕 김춘추의 아들 김법민이다. 김춘추는 당나라의 도움 받아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삼국을 통일하였으나 여전히 후백제, 후고구려 등으로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었는데  문무왕은 이를 완전히 평정하고 명실공히 삼국통일을 완성하였기에 삼국통일을 완수한 왕으로 평가 받기도 한다)

 

포토존 대왕암의 빛 - 초승달에 앉아 사진을 찍을 수 있다

 

대왕암으로 건너가는 곳

 

바다 저편에 현대해양플랜트?

 

크레인에 "HYUNDAE" 라는 글자가 뚜렷이 보인다

 

낮은 곳엔 어딜 가나 생선회, 멍게, 해삼이 인기다

 

돌고래상

 

울기등대 가는 길

 

울기등대 앞에 있는 체형별 통과 가능 기둥

 

울기등대

 

울기등대 주변에서 본 대왕암

 

용굴전망대 인 듯하다

 

할미바위(남근석) 안내판 - 망망대해를 바라보며 누군가를 기다리는 형상이라 한다

 

할미바위

 

민섬전망대

 

민섬 - 용궁의 근위대장과 사랑에 빠진 선녀 "민"이 옥황상제의 벌을 받아 바위섬이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달이 뜬 밤이면 어풍대에서 바라보는 민섬과 용굴은 한 폭의 동양화 처럼 아름답다

 

민섬 - 바다 가운데 작은 섬

 

일산해수욕장

 

건물 아랫쪽에 영어로 "ILSAN BEACH" 라고 붙어 있다

 

소리나무 - 조형물

 

돛배

 

해파랑길 8코스 끝 9코스 시작 안내판

 

해파랑길 8코스 완주 인증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