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슬산(대구 달성 20200421)
1. 등산코스
유가사주차장 - 수도암 - 전망대 - 비슬산정상 천왕봉(1083 m) - 마령재 - 조화봉삼거리 - 조화봉 - 대견사지 - 대견봉 - 유가사 - 유가사주차장(총산행거리 11.5 km, 소요시간 5시간 30분)
* 실제산행은 조화봉과 대견사지는 가지 않고 조화봉삼거리에서 대견봉으로 바로 갔다(각각의 장소로 갔다오는데 추가 시간은 길지 않지만 그 시간 동안 진달래 구경을 조금이라도 더 하는데 치중함)
* 경우에 따라서 천왕봉에서 유가사로 하산(7 km/3시간)하거나, 아니면 마령재에서 유가사로 하산(10.7 km/5시간)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럴 경우 최대의 진달래 군락지인조화봉삼거리와 대견봉 사이의 진달래 구경을 제대로 하기 어렵다
* 수도암을 지나면서 비슬산 정상까지는 올라갈수록 경사가 급해 다소 힘들지만 유가사에서 천왕봉까지 대략 3.5 km밖에 되지 않는점을 감안하면 정상 정복에 어려움은 없다
* 대견봉에서는 다시 뒤로 돌아 왔던 길로 100 m 쯤 돌아가면 작은 정자 옆으로 유가사로 내려가는 이정표가 설치되어 있다
* 비슬산 진달래 축제는 대략 4월 중순경부텨 개최되지만 21일인 당일에도 진달래는 대략 50% 정도 개화하였으며 4월말이 절정을 이루는 것 같다
* 들머리 겸 날머리 유가사주차장 : 대구시 달성군 유가면 양리 144-2
2. 비슬산 특징(琵瑟山 特徵)
높이 : 1083m
위치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특징, 볼거리
비슬산은 대구시와 달성군, 청도군에 걸쳐 산자락을 드리우고 있으며, 유가사 쪽에서 올려다 보면 거대한 수직 암릉이 정상을 받치고 있는 듯 우뚝 솟아 있다.
정상인 대견봉에서 남쪽 능선을 따라 988봉 - 조화봉으로 이어진다. 조화봉 능선에서 서쪽으로 대견사 터 - 1034봉으로 이어지며 1034봉에 팔각정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다. 정상에서 북으로 이어지는 능선은 앞산으로 가는 안내표시가 되어 있다.
정상에서 조화봉 까지 약 4km에 걸친 능선은 988봉 주변에 바위가 있을 뿐 육산(흑산)으로 큰 나무들이 없는 시야가 탁 트이는 초원 같은 이 능선에 가을에는 억새가, 봄에는 군락을 이룬 진달래가 붉게 물들인다. 진달래 군락사이에 싸리나무 등 잡목들이 섞여 있으나 진달래가 더 많다.
진달래는 정상부근, 988봉 부근 아래, 대견사 터 산자락 등 크게 3군데에 군락을 이루고 있다. 대견사터 북쪽 광활한 30여만평의 산자락이 대규모 진달래 군락지이며, 진달래가 가장 곱고 밀집되어 있는 곳은 988봉 부근 아래 산자락이다. 진달래는 4월 중순부터 물들기 시작해 4월 말에 절정에 달한다. 4월 하순경 참꽃(진달래)제가 열린다.
조화봉에서 1034봉 이어지는 능선 사이에 있는 대견사터는 대견사라는 사찰이 있던 곳으로 석탑과 미완성의 연화대석 큰 규모의 돌 축대들만이 옛 사찰의 흔적을 남기고 있다.
높은 벼랑 끝에 세워둔 대견사지 삼층석탑은 붕괴되어 있었던 것을 1986년 달성군에서 수습하여 재 건립한 것이다. 대견사터 주위에는 스님바위, 코끼리 바위, 형재바위 등 여러 바위들이 널려 있다. 이 석탑은 이층 기단위에 삼층석탑을 올린 형식이며, 절벽의 암반을 지대석으로 하고 그 위에 상중하대석으로 구성된 기단을 설치하였다. 대견사 터에서 동쪽으로 솟은 조화봉 봉우리 아래 능선에 잡석더미 같은 바위들이 보이는데 이를 칼바위 또는 톱바위라한다.
(琵瑟山."비파 비(琵) 거문고 슬(瑟))")이라는 이름은 정상에 있는 바위의 모습이 신선이 거문고를 타고 있는 모습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하고, 비슬이란 말이 인도의 범어의 발음 그대로 음으로 표기한 것이라고도 하며, 비슬의 한자 뜻이 포라고 해서 일명 포산이라고 하였다 한다.
비슬산에는 절이 많다. 유가사는 조계종 팔공산 동화사의 말사로 신라 흥덕왕 2년에 도성국사가 창건했다. 도성암은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절로 도성암 바로 위에는 도통암이라는 바위가 있다. 신라시대에 건립되었다고 전해지는 소재사가 있다. '99년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국립공원 지정을 위한 타당성 조사를 실시 하였다.
인기명산 [46위]
비슬산은 진달래 명산으로 우리나라 제일을 자랑한다. 여수 영취산 진달래도 이름 나있지만 진달래 군락이나 산세는 비슬산에 미치지 못한다. 산이 높고 산 정상부와 능선에 진달래 군락지가 있어 4월말경 늦게 만개한다. 진달래가 만개하는 4월에 집중적으로 많이 찾는다.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
봄에는 진달래, 가을에는 억새 등 경관이 아름다우며, 조망이 좋고 군립공원으로 지정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되었다
북쪽의 팔공산과 함께 대구분지를 형성하며 낙동강을 끼고 있으며, 고려말 공민왕 7년(1358년) 진보법사가 창건한 소재사(消災寺) 등이 유명하다
비슬산 산행계획표
등산지도(붉은색 A코스, 파란색 B코스, 초록색 C코스)
산악회에서 제공한 등산지도
트랭글 산행궤적
(트랭글 제때 끄지 않아 실제보다 30분쯤 더 시간이 걸린 것처럼 나왔다)
트랭글 운동정보
실제로는 4시간 30분 정도 걸렸으나 트랭글을 재때 끄지 않아 시간이 더 많이 표시되었다
유가사주차장
주차장 앞 달성군 관광안내도
주차장 주변 비슬산 등산지도
비슬산 유가사
유가사로 올라가는 길
유가사
나중에 하산시에도 유가사로 내려온다
"유가사 108 돌탑을 세우며"란 글을 보면 이곳 돌탑이 모두 108개 란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무산(霧山 曺五鉉) 스님의 비슬산 가는 길 시비
유가사의 돌탑들
수도암 앞에 있는 이정표
산길로 접어 들면서 경사가 급해진다
위로 올라갈수록 경사도 급하고 돌무더기길이 나온다
정상 천왕봉이 가까와지면서 진달래가 모습을 나타낸다
전망바위에서 본 천왕봉
정상 주변은 아직 진달래가 많이 피지 않고 대략 50% 정도 핀 듯하다
비슬산 정상 천왕봉
비스산 정상에서 본 주변 풍경들
작은 탑처럼 보이는 곳이 조화봉
추위와 바람 때문에 진달래가 쪼그라들게 피어있다
뒤에서 본 천왕봉 표석
천왕봉 주변은 억새가 많아 그 사이에 앉아 점심을 먹기 좋았다
천왕봉에서 이정표의 대견사 방향으로 간다
대견봉과 주변의 진달래 군락
조화봉으로 가면서 본 진달래에 가려진 천왕봉
조화봉
대견사 절터
대견봉 주변 진달래 군락
대견봉
대견봉에 있는 등산안내도
(다시 왔던 길을 약간 되돌아 정자가 있는 곳까지 가서 이정표를 보고 유가사 방향으로 2.7 km/ 1시간 정도 내려가면 유가사가 나온다)
- 끝 -
'등산 > 인터넷산악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산 군관봉, 기산봉(전북 부안군 20200507) (0) | 2020.05.08 |
---|---|
금오산(경북 구미 20200427) (0) | 2020.04.28 |
추월산(전남 담양 20200410) (0) | 2020.04.11 |
덕항산(강원도 삼척 20200305) (0) | 2020.03.06 |
주흘산(경북 문경 20200223) (0) | 2020.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