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을 포함하여 1, 2, 3구는 아래와 같은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1888~1965)의 長篇詩 <황무지>의 첫 구절을 한시 형태에 맞게 인용한 것입니다
‘사월은 가장 잔인한 달, 죽은 땅에서 라일락을 피우며, 추억과 욕망을 섞으며, 봄비로 생기 없는 뿌리를 깨운다.’
<황무지>는 제1차세계대전이 가져온 폐허의 절망감과 인간성의 피폐함을 그린 詩라고 합니다
* 紫丁香(자정향) 라일락 * 榮華(영화) 부귀영화처럼 부와 권력을 마음껏 누린다는 의미로 쓰이나 원래 뜻은 榮은 풀에서 피는 꽃이고 華는 나무에서 피는 꽃 * 改天 or 改日 다른 날, 다음의 어느날 * 疲弊(피폐) 지치고 쇠약함 * 緩慢(완만) 급하지 않고 느릿느릿함 * 豪奢(호사) 호방하고 사치스러움
* 押韻 : 花 加 華 拿 夸 芽 奢
* 平仄 紫丁香死地開花 1 측평평측측평평 (평평측측측평평)
追憶欲望相混加 2 평측측평평측평 (측측평평측측평)
春雨沒生根叫醒 3 평측측평평측측 (평측측평평측측)
賞春之節樂榮華 4 측평평측측평평 (측평평측측평평)
何言四月為殘忍 5 평평측측평평측 (평평측측평평측)
既往之事莫再拿 6 측측평평측측평 (측측평평측측평)
今日太陽今日下 7 평측측평평측측 (평측측평평측측)
改天來改日陽夸 8 측평평측측평평 (측평평측측평평)
心多苦受傷疲弊 9 평평측측평평측 (평평측측평평측)
歲去春來自出芽 10 측측평평측측평 (측측평평측측평)
不要急焦猶緩慢 11 평측측평평측측 (평측측평평측측)
賞春之節享豪奢 12 측평평측측평평 (측평평측측평평)
* ( )속은 표준평측이고 각구의 2 4 6 7번째 글자의 평측이 맞고 孤平과 下三連이 없으면 평측은 제대로 된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