삽시도, 고대도(충남 보령 20190615)
1. 일정표
- 2019. 06. 14일 03시 30분 : 충남 대천연안여객터미널 도착(전날 23시 50분 서울 출발)
- 03시 30분 ~ 07시 40분 : 휴식, 자유시간 및 승선 준비
- 07시 40분 ~ 08시 25분 : 대천항 출발 및 삽시도 밤섬선착장 도착
- 08시 30분 ~ 12시 30분 : 삽시도 트레킹
- 12시 30분 ~ 13시 45분 : 자유시간(점심) 및 승선 준비
- 13시 45분 ~ 14시 30분 : 삽시도 출발 및 고대도 도착
- 14시 30분 ~ 16시 30분 : 고대도 산행 및 트레킹
- 16시 30분 ~ 16시 55분 : 승선 준비
- 16시 55분 ~ 18시 20분 : 고대도 출발 대천항 도착
- 18시 20분 ~ 20시 30분 : 서울 도착
* 삽시도 트레킹 코스 : 밤섬선착장 ~ 밤섬해수욕장 ~ 황금곰솔 ~ 물망터 ~ 면삽지(해식동굴) ~ 진너머해수욕장 ~ 거멀해수욕장 ~ 술뚱선착장(9.4 KM, 4시간 소요)
* 고대도 트레킹 코스 : 고대도선착장 ~ 방파재 ~ 또랑산 갈림길 ~ 또랑산왕복 ~ 당너머해수욕장갈림길 ~ 도리사 ~ 당산 정상 왕복 ~ 도리사 ~ 선바위전망대 ~ 귀츨라프김념비 ~ 뱅부여 ~ 고대도 선착장(5.8 KM, 소요시간 2시간
2. 삽시도 개요(揷矢島 槪要)
삽시도는 태안반도(泰安半島)의 안면도(安眠島)로부터 남쪽으로 약 6㎞, 보령시에서 서쪽으로 13.2㎞ 지점에 있다. 면적은 3.98㎢이고, 해안선 길이는 10.8㎞이다. 충청남도에서 세 번째로 큰 섬이다.
섬의 생김새가 화살을 꽂은 활과 같다는 데에서 지명이 유래하였다. 그러나 조선시대의 지도에서는 현재와 한자 표기가 다른 삽시도(揷時島)로 되어 있어 일제강점기에 현재의 지명으로 변경된 것으로 추정된다.
남서쪽에 비교적 높은 산지가 있지만 대부분은 낮은 구릉성 산지를 이룬다. 해식에 의한 황해안의 토사가 남쪽과 서쪽 해안에 퇴적되어 비교적 넓은 사빈이 형성되었다. 특히 거멀너머해수욕장과 밤섬해수욕장이 대표적이다. 1월 평균기온은 0.1℃, 8월 평균기온은 25.1℃, 연강수량은 1,081㎜이다. 겨울철에 북서계절풍의 영향을 받아 한서차가 크다.
2011년 기준으로 인구는 483명(남 244명, 여 239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237세대이다. 취락은 섬의 북부에 집중하며, 일부는 해안을 따라 분산되어 분포한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0.38㎢, 밭 0.33㎢, 임야 2.53㎢이다.
주민은 대부분 어업에 종사하고 있다. 주요 농산물로는 쌀을 비롯하여 마늘·고추·무·배추·깨 등이 소량 생산된다. 근해에서 멸치·밴댕이·새우·게·파래 등이 어획된다. 교통은 대천항에서 정기여객선이 운항된다. 교육기관으로는 오천초등학교 삽시분교장이 있다.
3. 고대도 개요(古代島 槪要)
고대도는 태안반도의 허리에서 남쪽으로 뻗은 안면도의 남단에서 해상으로 약 3㎞ 지점에 있다. 면적은 0.92㎢이고, 해안선 길이는 4.3㎞이다. 태안해안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현재는 고대도(古代島)로 불리지만 과거에는 ‘대(垈)’ 자를 써서 고대도(古垈島)로 불리기도 하였다. 섬에 옛 집터가 많아서 고대도라고 부른다고 전해지며, 옛날에 거물급 인사가 살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도 있다.
2개의 낮은 구릉이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으며, 중앙에는 사주가 넓게 분포하고 있다. 남쪽의 구릉은 산지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북쪽에서는 동쪽 해안으로 갈수록 완경사지와 평지가 분포한다. 해안은 동안의 중앙부에 발달한 사주를 제외하면 암석해안을 이룬다.
기후는 해양의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겨울철 북서계절풍의 영향으로 한서차가 심한 편이다. 연평균기온은 12.9℃, 1월 평균기온은 0.1℃, 8월 평균기온은 25.1℃이며, 연강수량은 1,081㎜이다. 특히 겨울철에 눈이 많이 내린다.
2011년 기준으로 인구는 241명(남 129명, 여 112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98세대이다. 취락은 동북쪽 해안에 집촌을 이룬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0.09㎢, 밭 0.07㎢, 임야 0.58㎢이다. 주요 농산물은 쌀이며, 그 외에도 무·배추·마늘 등이 소량 생산된다.
수산물로는 멸치를 비롯하여 밴댕이와 낙지의 어획량이 많은 편이고, 까나리 액젓이 특산물로 유명하다. 교통은 대천항과 영목항에서 정기여객선이 운항된다. 교육 시설로는 청룡초등학교 고대분교장이 있다.
삽시도 위치
합시도 트레킹 지도(밤섬선착장에서 술뚱선착장까지(9.4 KM, 4시간)
트랭글에 나타난 삽시도 트레킹 궤적
(앱을 늦게 켜서 밤섬선착장에서 지도상 출발지로 표시된 갈림길까지 약 2KM 구간과 소요시간 40분 가량이 나타나지 않았다)
삽시도 운동기록
(이 역시 앱을 늦게 켜서 밤섬선착장에서 갈림길까지 약 2KM 구간과 소요시간 40분 가량이 나타나지 않았다)
고대도 위치
고대도 트레킹 지도
(트랭글에 나타난 고대도 트레킹 궤적
(시간이 부족하여 컨테이너 지역과 봉화재가 있는 산길은 생략하고 귀츨라프김념비와 전망대에서 선바위 감상만으로 끝냈다)
고대도 운동 기록
대천연안여객터미널
삽시도 선착장 주변
삽시도 관광 안내도
밤섬해수욕장
밤섬해수욕장 옆길
곰솔까지 갔다가 다시 돌아온다(곰솔에서 되돌아 오지 않고 옆으로 가는 길도 있다)
곰솔 설명서
(곰솔은 잎이 소나무 보다 억세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고, 바다가에 주로 있다고 해서 해송(海松) 또는 색갈이 검다고 흑송(黑松)이라고도 한다, 이곳 곰솔은 엽록소가 부족한디 황금빛을 띄는 것으로 추장하며 그 바람에 황금소나무라고 부르기도 한다)
뒤에 있는 것이 황금곰솔이다
바닷가 쪽으로 내력 찍은 곰솔 배경 사진
위 사진고 같은 자리
황금곰솔 해변
원추리
황금곰솔
물망터 방향으로 갔다가 나중에 다시 이곳으로 온다
물망터
물망터 해변
면삽지 방향으로 간다
면삽지
뱀딸기
진너머해수욕장
거멀너머해수욕장
거멀너머해수욕장
술뚱선착장
배를 수리하는 장면
술뚱선착장 주변에서 바지락칼국수로 점심을.......
<이하는 고대도 사진>
고대도 선착장
선착장 대합실
선착장 주변 등대
고대도 탐방안내도
또랑산
당산 표지석
뱅부여
한국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인 독일인 칼 귀츠라프 선교사 기념비
귀츠라프 선교사의 공적을 기린 비
뱅부여 해변
선바위
전망대 주변
뱅부여
고대도 선착장
고대도 선교센터
대천항 등대
- 끝 -
'등산 > 섬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난지도 망치봉(충남 당진 20190721) (0) | 2019.07.23 |
---|---|
교동도 화개산, 석모도 해명산(인천 강화군 20190715) (0) | 2019.07.16 |
한산도 망산,미륵산(경남 통영 20190604) (0) | 2019.06.06 |
비금도(전남 신안군 20190531) (0) | 2019.06.01 |
추자도(제주도 추자면 20190420-21) (0) | 2019.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