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배우기)
君子三樂(군자삼락)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전국시대 철인(哲人)으로서 공자의 사상을 계승 발전시킨 맹자(孟子)는
《맹자(孟子)》〈진심편(盡心篇)〉에서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을 이렇게 말했다.
君子有三樂 而王天下不與存焉
(군지유삼락 이왕천하불여존언)
군자에게는 세 가지의 즐거움이 있다
천하의 왕이 되는 것은 여기에 들어 있지 않다
父母俱存 兄弟無故 一樂也
(부모구존 형제무고 일락야)
양친이 다 살아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이 첫번째 즐거움이요
仰不愧於天 俯不作於人 二樂也
(앙불괴어천 부부작어인 이락야)
우러러 하늘에 부끄럽지 않고 굽어보아도 사람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것이 두번째 즐거움이요
得天下英才 而敎育之 三樂也
(득천하영재 이교육지 삼락야)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교육하는 것이 세번째 즐거움이다
君子有三樂 而王天下不與存焉
(군자유삼락 이왕천하불여존언)
군자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으나 천하를 통일하여 왕이 되는 것은 여기에 들어 있지 않다
(해설)
맹자가 말한 세 가지 즐거움 중에서 첫번째 즐거움은 하늘이 내려 준 즐거움이다.
부모의 생존은 자식이 원한다고 하여 영원한 것이 아니므로 오랫동안 함께할 수 있다면 그 자체로써 즐겁다는 말이다.
두번째 즐거움은 하늘과 땅에 한점 부끄럼이 없는 삶을 강조한 것으로, 스스로의 인격 수양을 통해서만 가능한 즐거움이다.
세번째 즐거움은 자기가 갖고 있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베푸는 즐거움으로,
즐거움을 혼자만 영위할 것이 아니라 남과 공유하기를 바라는 것이다.
맹자는 세 가지 즐거움을 제시하면서 왕이 되는 것은 여기에 들어 있지 않음을
두 차례나 언급하여 강조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국가를 경영할 경륜도 없고 백성을 사랑하는 인자함도 없으면서
왕도정치에는 귀도 기울이지 않고, 백성들의 형편이야 어찌 되든 오직 전쟁을 통해서 패자가 되려고만 했던 당시 군왕들에게,
왕노릇보다는 기본적인 사람이 되라는 맹자의 질책이었다고 한다
♤♤♤♤♤
이와 유사한 내용으로 공자의《논어(論語)》〈계씨(季氏)〉편에는 사람에게 이익이 되는 세 가지 즐거움을 이렇게 말하고 있다.
益者三樂(익자삼요)
유익한 것으로서 세 가지 좋아하는 것
樂節禮樂(낙절예악)
예악을 절도에 맞게 즐기는 것
樂道人之善(낙도인지선)
남의 선을 말하는 즐거움
樂多賢友(낙다현우)
어진 벗을 많이 사귀는 즐거움
♤♤♤♤♤
또한 공자는 〈계씨〉편에서 사람을 망가뜨리는 세 가지 즐거움도 들고 있다.
損者三樂(손자삼요)
해로운 것으로서 세 가지 좋아하는 것
樂驕樂(낙교락)
교만하고 방탕한 즐거움
樂逸樂(낙일락)
편안하게 노는 즐거움
樂宴樂(낙연락)
잔치를 베풀어 즐기는 즐거움
'한문 야화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字小学 중에서 (0) | 2014.12.30 |
---|---|
명심보감 - 존심편 (0) | 2014.12.28 |
君子处仁 (0) | 2014.12.25 |
一葉蔽目不見太山 (0) | 2014.12.24 |
富贵由命 - 명심보감 (0) | 2014.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