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한 줄)
子曰, “富與貴, 是人之所欲也, 不以其道得之, 不處也
(자왈 부여귀 시인지소욕야 불이기도득지 불처야)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부귀는 사람들이 다 원하는 것이다.
그러나 정당한 방법으로 얻은 것이 아니면 그것이 처하지 않는다.
貧與賤, 是人之所惡也, 不以其道得之, 不去也.
(빈여천 시인지소오야 불이기도득지 불거야)
빈천은 누구나 다 싫어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정당한 방법으로 얻은 것이 아니라 할지라도,
부당한 방법으로 벗어나려고 노력하지는 않는다.
君子去仁 惡乎成名 君子無終食之間違仁, 造次必於是, 顚沛必於是.”
(군자거인 오호성명 군자무종식인간위인 조차필여시 전패필어시)
군자가 인함에서 떠나 있다면 어찌 명예로운 이름을 이룰 수 있겠는가?
군자는 한 끼의 시간 동안에도 인을 어기는 법이 없다.
황급한 때에도 반드시 인과 같이 하며,
실족할 때에도 반드시 인과 같이 할 뿐이다."
* 군자는 오로지 인과 함께 함을 중히 여기지 부귀나 빈천을 따지지 않으니 부귀든 빈천이든 정당하지 않은 방법으로 그것을 얻거나 벗어나려 하지는 않는다는 말입니다
'한문 야화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심보감 - 존심편 (0) | 2014.12.28 |
---|---|
君子三樂 (0) | 2014.12.26 |
一葉蔽目不見太山 (0) | 2014.12.24 |
富贵由命 - 명심보감 (0) | 2014.12.22 |
[스크랩] 구사(九思) 구용(九容) (0) | 2014.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