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우도(제주도 20200530~31)
한라산+우도(제주도 20200530~31)
1. 일정표
- 2020.05.30(토) 01시 30분 : 완도 여객선터미널 도착(전날 20시 서울 출발)
* 전남 완도군 완도읍 군내리 1255
- 01시 30분 ~ 02시 30분 : 제주도행 선편 승선 대기
- 02시 30분 ~ 05시 10분 : 완도항 출발, 제주항 도착
- 05시 10분 ~ 06시 00분 : 아침 식사
- 06시 00분 ~ 07시 00분 : 성판악으로 이동(전세버스 이용)
- 07시 00분 ~ 16시 00분 : 한라산 등산(도시락 제공)
- 16시 00분 ~ 18시 00분 : 식당(늘봄 흑돼지집)으로 이동후 저녁식사
- 18시 00분 ~ : 숙소로 이동(제주 마리나호텔)후 자유시간
* 제주시 연동 300-8
- 20200531(일) 06시 00분 ~ 07시 00분 : 기상 및 아침 식사
- 07시 00분 ~ 08시 00분 : 성산포항으로 이동
- 08시 00분 ~ 08시 30분 : 우도행 선편 탑승 및 우도 도착
- 08시 30분 ~ 10시 30분 : 우도 트레킹(우도등대 및 비양도)
- 10시 30분 ~ 11시 00분 : 우도 천진항 출발, 성산포항 도착
- 11시 00분 ~ 13시 00분 : 제주항으로 이동 및 점심 식사
- 13시 00분 ~ 13시 45분 : 승선 대기
- 13시 45분 ~ 18시 30분 : 제주항 출발, 추자도 경유, 완도항 도착
- 18시 30분 ~ 23시 30분 : 완동 출발, 서울 도착
* 비양도는 제주시 한림읍의 비양도와 우도에 딸린 작은 비양도가 있는데 이곳 비양도는 우도에 딸린 작은 비양도 임
2. 한라산 등산코스
성판악 - 속밭대피소 - 사라오름갈림길 - 사라오름 - 사라오름 갈림길 - 진달래밭 대피소 - 한라산 정상(해발 1950 m) - 용진각 출렁다리 ~ 삼각봉 대피소 - 관음사 주차장(총 산행거리 20 km, 소요시간 9시간)
* 성판악에서 사라오름을 거쳐 한라산 정상까지는 대략 4시간, 정상에서 인증사진 찍고 점심 먹고 하는데 대략 1시간, 정상에서 관음사 주차장까지는 천천히 걸어도 3시간 정도 걸려 모두 합해 8시간 정도면 등산 완료됨
* 다소 무리라고 생각될 병우에는 사라오름 왕복(1.2 km 약 40분) 코스를 생략하면 18.5 km 정도로 시간도 대략 30~40분 단축 가능함
3. 우도트레킹 및 코스
우도 천진항 - 우도봉 주차장 - 오가네 국수 - 우도봉 정상 - 우도등대 - 검멀래 해변 - 우도등대 - 우도봉 정상 - 천진항 회귀(총 산행거리 6km, 소요시간 2시간)
* 당초 계획과는 달리 약한 비가 내려 우도봉 등산로 입구에서 우도등대까지 왕복후 검멀래 해변까지 총 2km 정도를 40분간 트래킹하고 전세버스를 타고 바로 비양도로 이동후 비양도 관광 겸 트레킹으로 마감함
* 개인적으로 갈 경우에는 우도내에서만 운행하는 마을버스 이용 가능하다고 함
한라산+ 우도 일정표
한라산 등산코스
우도 지도 및 일정표
트랭글에 표시된 산행 궤적
(성판악 축발시 대략 2km, 한라산 정상후 하신 시 5km 정도가 트랭글 위치 정보 오류로 제대로 표시되지 않고 엉뚱한 곳으로 표시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잘 맞지 않으나 산행거리나 산행시간은 거의 일치함)
한라산 등산 트랭글 운동정보
출발 시 약 2km 정도와 정상 정복 후 하산 5km 정도 지점까지 트랭글 연결이 되지 않아 휴식시간이 과도하게 표시되는 등 오류가 있음
전체적으로 대략 20 km, 소요시간 8시간이 걸린 것은 거의 맞음
우도등대 트랭글 산행 궤적
비가 와서 당초 계획과는 달리 우도등대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등대까지 왕복 산행을 하고 바로 검멀래 해변까지 연결해서 트레킹을 함
우도등대 및 검멀래 해변까지의 트랭글 운동정보
완도항 여객터미널
제주행 여객선
한라산 성판악 등산 입구
한라산 성판악 탐방안내소 앞
한라산 국립공원에 대한 설명판
성판악 탐방로 설명판
등산로 입구
속밭대피소
속밭대피소 주변 이정표
(속밭대피소는 성판악에서 4 km, 사라오름 입구까지 1.7 km)
사라오름 갈림길 이정표
(사라오름까지 왕복 1.2 km, 소요시간 40분)
사라오름 가는 길
사라오름 산정호수
산정호수 설명판
화산 분화구에 물이 고여 습지를 이룬 곳으로 둘레 250m, 폭 80~100m 정도라고 한다
사라오름 전망대
뒤쪽에 약간 솟아 보이는 곳이 한라산 정상이다
사라오름에서 기념사진 찍는 회원들
다시 왔던 길을 되돌아 내려간다
제주도 조릿대
잎이 넓고 가장자리 선이 분명하다
진달래밭 대피소
진달래밭 대피소를 배경으로
진달래밭대피소 조금 지난 지점의 이정표
(진달래밭 대피소에서 백록담까지는 2.3 km)
제주도에 많이 서식하는 우리 토종인 구상나무
(지구온난화로 많이 말라죽기도 하고 또 나무 모양이 좋아 서양인들이 가져가 심어 크리스마스트리로 많이 사용한다고 한다)
한라산 정상
산벚꽃
계단 오른쪽에 보이는 바위 지점이 정상
한라산 아래쪽 풍경
한라산 동능 정상 표지목
한라산 분화구
(왼쪽 돌출부가 남벽 분기점인 듯하다)
백록담
(왼쪽 산모서리 부분이 윗세오름)
한라산 백록담(해발 1950 m)
정상 인증하려고 줄 서 기다리는 사람들
(나무 표지목에서 찍어도 인증을 받을 수 있다는데 굳이 돌에 새긴 곳에서만 이렇게 줄이 길다)
정상 이정목
(관음사까지 8.7 km)
한라산 천연 보호구역 백록담
한라산 백록담 설명판
총 둘레 1.7 km, 남북 길이 400 m, 동서 길이 600m의 타원형으로 분화구 벽의 높이는 약 140 m 라고 한다
항상 물이 고여 있으며, 백록담이란 이름의 유래는 신선들이 백록주(白鹿酒)를 마시고 놀았다는 설과 흰 사슴으로 변한 신선과 선녀의 전설이 있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한다
2007년 유네스코 세계 자연유산으로 지정되었다고 한다
한라산 동능 정상 표지목
구상나무
구상나무 고사목
이건 굴피나무 고사목인 듯하다
하산하면서 본 한라산 정상
하산하면서 본 윗세오름
한라산 정상부
철쭉이 야생화처럼 땅에 바짝 붙어 있다
용진각 대피소 터 설명문
용진각 대피소 터에서 본 풍경
왼쪽은 동능 정상이고 가운데는 윗세오름, 오른쪽 가까이 있는 것은 만세동산 인 듯하다
용진각 대피소 터
용진각 출렁다리
(과거에는 이 다리 없이 그대로 길을 따라 하산했던 것 같은데 지금은 이 다리를 건너서 골짜기 반대편으로 건너간다)
삼각봉
삼각봉 대피소
울창한 적송 지대가 쭉 이어진다
구린굴 석빙고(古林窟 石氷庫) 설명판
구린굴 석빙고
(구린은 중국 발음이고 한글 발음은 고림인데 왜 중국 발음을 사용하고 있는지 알 수 없다)
관음사지구 탐방지원센터
관음사 탐방로 안내판
관음사 주차장
한라산 등산이 끝난후 차를 타고 흑돼지로 유명한 <늘봄>이란 식당에 가서 흑돼지 구이를 먹었다
아래 사진은 우도에서 찍은 사진들이다
성산포항에서 우도행 배를 탄다
우도등대 등산 입구
많이 오는 건 아니지만 비가 촐촐 히 내린다
철쭉
등대가 있는 곳
우도등대 홍보관
담벼락에 붙어있는 제주도 사투리가 적힌 홍보물
우도등대
(여기가 사실상 우도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고 우도의 최고봉인 우도봉도 이 근처에 있다
등산길 가에 피어있는 들꽃들
하산하여 도로를 따라 가면서 찍은 바닷가 풍경
검멀래 해변
우도가(牛島歌) 시비
검멀래해변
여기까지 우도등대 산행과 검멀래 해변 구경이 끝내고 차를 타고 약 3분 정도 거리에 있는 비양도로 간다
비양도로 넘어가는 다리 앞
이 다리를 건너면 비양도
소라고동(진짜인지 모조품인지 모르지만)으로 쌓아 올린 탑
비양도 표석과 일출소원바위 의자
비양도 구경이 끝나고 버스를 타고 천진항으로 간다
제주 여객선터미널 앞 하루방
제주여객선터미널 대합실
제주항에서 배를 타고 추자도를 경유할 때 찍은 사진으로 바깥 풍경은 추자도항의 모습이다
제주항에서 완도항까지 타고 배
완도항에서 타고 온 여객선을 배경으로 회원들과 기념사진
-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