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 야화 등

成事不足,败事有余

OHO 2015. 5. 5. 10:49

<成事不足,败事有余>

chéngshìbù zú,bài shì yǒu yú

 

되는 일은 부족하고,안되는 일은 남아돈다.

되는 일 없이 일을 망치기만 한다.

释义:不仅办不成事,反而还捅娄子的人。

捅娄子 tǒng lóu‧zi  

문제를 일으키다.말썽을 부리다.

 

우리 속담으로 하면 뭐가 좋을까요?

"긁어 부스럼" 정도가 비숫하지 않을까요?

 

그럼 이 말의 유래를 알아봐야겠죠.

 

옛날옛적 출세를 위해 어려운 상황에서도 공부를 게을리 하지 않던 선비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매번 과거만 보면 떨어졌으니 이름을 날리기는 커녕 자괴감만 깊어갔죠. 

"일생의 공명이 모두 성패에 달렸구만"이라 생각하게 되었고,결혼 후 아이를 낳아 하나는

成事라고 짓고,다른 하나는 败事라고 지어,엄하게 교육을 시켰습니다.

그러던 어느날,며칠 일 때문에 집을 비우게 되어 집사람에게 애들 교육을 맡기게 되었는데,

공부외에 매일 큰애는 삼백자씩,둘째는 이백자씩 글쓰는 것을 연습하도록 시키라고 하고 떠났습니다.아내는 하루도 빠짐없이 남편의 분부대로 공부와 글쓰기를 시켰죠.

남편이 돌아오기 전날,아내가 애들에게 글쓰기를 시켜보자 큰애는 오십자가 부족하고(成事不足),

작은애는 오십자가 남는게 아닌가(败事有余).

남편이 돌아와 그간 교육이 어땠는지 묻자,아내가 얘기하길 "외우는 것도 잘하고,쓰기 연습도 잘했는데,큰놈은 항상 오십자가 부족하고 작은놈은 항상 오십자가 남아요"라고 답하자,

남편이 "둘다 이백오십이라 이거지.(二百五)"

하더래요.

 

이후부터 二百五는 모자른 사람을 가르키는 말로 폄하되어 버렸습니다.하라는대로 하지 못하고 더하거나 덜하는 덜떨어진 사람을 가르켜 "얼바이우"라고 하는거죠.

 

 

例子)

别让金先生做那一件事情,他是个“成事不足,败事有余“的人。会越做越坏。

bié ràng jīn xiān shēng zuò nèi yī jiàn shì qíng, 

tā shì gè “chéng shì bù zú, bài shì yŏu yú“ de rén, huì yuè zuò yuè huài .

김선생한테 그거 시키지마.그사람 긁어 부스럼 만들기 일쑤야.할수록 엉망되버려...

 

 

* 발췌 원문.

 

昔时有一书生,嗜书如命,“头悬梁锥刺股”的十年寒窗苦读,促使他一心考取功名。但几次乡试都名落孙山。他想:“一生的功名,在于成败之间。”于是结婚成家有了儿子后便给大儿取名“成事”;小儿取名“败事”,书生望子成龙心切,对两个儿子管教很严。

嗜 shì즐기다.좋아하다.

头悬梁锥刺股  학문에 힘쓰다

引头悬梁 yǐntóu xuánliáng

머리를 대들보에 묶어 잠을 쫓다, 학문에 힘쓰다

引锥刺股 yǐn zhuī cì gǔ

송곳으로 허벅지를 찌르다, 학문에 힘쓰다.

寒窗苦读 hánchuāngkǔdú

어렵고 힘들게 공부하다

名落孙山 míng luò Sūn Shān 낙선하다.

*나중에 이 사자성어도 해야겠군요.

 

一天,书生要出外办事,离家前交代妻子:

督促两个儿子学习不可懈怠,并规定:除了熟读《三字经》《百家姓》外,每日还要练习书法,规定大儿子写三百个汉字,小儿子写二百个。妻子照办,每天日不错影地催促两个儿子读书写字。

督促 dūcù 감독하다,독촉하다.

懈怠 xièdài 게으르다.태만하다.

日不错影 rì bú cuò yǐng 날마다 어김없이.

 

日复一日,她估算着丈夫快要归来时,便亲自测试让儿子背书,还检查他俩各自写了多少字。她数了数,结果大儿子少写五十个字,小儿子却多写了五十个。

估算 gūsuàn 추산하다.어림잡아 계산하다.

 

书生归来后,问起两个儿子的学习和练字情况,妻子一本正经地如实相告:“背书如流水,字也写了,只是成事不足,败事有余,二人都是二百五。”

一本正经  yì běn zhèng jīng

진지하다, 엄숙하다, 태도가 단정하다

 

后来,人们把这当成笑谈。传来传去把它的意思给变了,成了一句贬义词。

贬义 biǎnyì폄의.나쁜 뜻